중국의 위(魏)나라 시대에 천하의 명의로 편작을 꼽는다고 합니다. 천하의 명의였던 편작에게는 의사인 형이 두 명 있었습니다. 어느 날 위(魏)나라 왕이 편작에게 물었습니다. "삼형제 중에 누가 가장 실력이 좋은가? 편작은 큰형의 의술이 가장 뛰어나며 둘째 형님이 그 다음입니다.
그러자 위나라 왕은 의아해하면서 편작이 명의로 소문난 이유를 물었습니다. 그러자 편작은 목소리를 낮추어 말했습니다. 큰형은 증상을 느끼기도 전에 얼굴만 보고 앞으로 어떤 병이 들것을 압니다. 그래서 병이 생기기 전에 미리 치료를 해 주지요! 그러다 보니 아무리 잘 해 주어도 형이 낫게 해준 줄을 모릅니다. 둘째 형은 병세가 미약할 때 병을 알아내어 치료해 줍니다. 그러다 보니 환자들은 둘째 형이 큰 병을 치료해 주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위나라 왕은 더욱 궁금해 편작이 유명하게 된 이유를 다시 물었습니다. 저는 병이 커져서 심한 고통을 느낄 때 비로소 알아봅니다. 중한 병이기에 맥을 짚어야 했고, 아픈 곳을 도려내는 수술하고, 처방을 해야 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그런 나를 보고 큰 병을 치료해 주었다고 믿고 존경합니다. 이것이 삼형제 중 가장 실력이 모자란 제가 명의로 소문난 이유입니다.
인간 심리를 잘 묘사하는 이야기입니다. 병 주고, 약주는 존재를 제일 의존하고 존경한다는 말입니다. 하나님께서 사전에 은혜로 건강을 주시면, 그 은혜를 모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죽을병에 걸렸다가 살려 주어야 비로소 감사가 나옵니다.
참 지혜는 사전 경고와 말씀 앞에 순종하는 것입니다. 작은 사인을 주실 때, 헌신하는 것입니다. 제일 어리석은 사람은 실컷 얻어맞고 난 다음에 깨닫습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작은 경고 사인에 깨닫고, 어리석은 사람은 망한 이후에 깨닫습니다.
요즘은 직언하면서 목회하는 목사는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직언이 없으면, 성도들은 대개 넘어져서 찾아옵니다. 그때 친절하게 이야기 해주고, 기도해 주면 무척 고마워합니다. 반응은 좋은데 때로는 양심이 괴롭습니다.
목장에서 목자. 목녀님들의 목회도 똑 같은 것 같습니다. 듣기 싫은 소리지만, 목장 식구에게 유익이 되는 것이라면 말하는 것이 참된 목자가 아닐까요? 알면서 말하지 않는 것은 삯군의 모습은 아닐까요? 적당히 타협하며 사는 것은 서로에게 좋은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영혼이 죽어가는 일이라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아야 할 일입니다.
"솔로몬이 지혜를 구했듯이, 듣기 싫은 직언을 기분 좋게 전달하는 지혜를 구해야 행복한 목회가 될 것 같습니다."
* 이글은 제가 지난 휴가 때 사흘을 묵으면서 교제하고 도움을 받았던 뉴저지 갈릴리교회 박성식 목사님의 목회 편지 중 한편입니다. 제가 아무래도 이 글을 읽고 박성식 목사님을 좋아하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www.galilee.net